WEBBOS 개요 |
매출관리 |
근태관리 |
마스터관리 |
구매/자재관리 |
고객관리 |
자재관리 | |
![]()
|
|
ㅁ 청구관리 | |
∙ 청구등록 ∙ 청구마감관리 |
|
ㅁ 주문관리 | |
∙ 주문출고 확정 ∙ 주문출고 등록 ∙ 주문입고 확정 ∙ 주문입고 등록 ∙ 자재별 주문현황 |
|
ㅁ 반품주문관리 | |
∙ 반품 출고 등록 ∙ 반품 입고 확정 ∙ 반품 입고 등록 |
|
ㅁ 주문/반품관리 | |
ㅁ 손실관리 | |
∙ 손실등록 |
|
ㅁ 실사관리 | |
∙ 실사 등록 ∙ 안전 재고 등록 ∙ 현재고 현황 ∙ 일수불 현황 ∙ 월수불 현황 |
|
ㅁ 마감 작업 | |
∙ 월마감 작업 ∙ 월마감 관리 |
![]() |
ㅁ 기능 | |
매장에서 본사로 자재 청구를 일자별로 등록. |
|
ㅁ 사용방법 | |
처음 청구등록 화면에 들어가면 청구기간안에 등록된 청구가 있을 경우, 청구번호 순으로 조회된다. 청구번호는 [신규] 버튼을 눌러 청구를 등록할때마다 새롭게 생성이 되며 조회에서 상태는 해당 청구번호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. |
|
ㅁ 기타 | |
* 상태값 - 미발주 : 청구를 한 상태 - 발주 : 청구등록에 대해 발주확정을 한 상태 (부분발주, 발주완료) - 출고 : 청구등록에 대해 출고확정을 한 상태 (부분출고, 출고완료) - 입고 : 출고등록에 대해 입고확정을 한 상태 (부분입고,입고완료) |
|
![]() |
|
ㅁ 기능설명 | |
청구등록에서 [신규] 버튼을 눌렀을때의 화면이고 새롭게 청구를 등록하여 청구번호를 만든다.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청구사용자재에 등록된 자재리스트가 조회되면 청구일자, 입고예정일, 청구마감일을 확인하고 청구할 자재를 찾아서 각각의 청구 수량을 입력하고 [저장] 버튼을 누릅니다. 2 저장이 완료되면 청구번호가 생성되고, 해당 청구번호에 해당하는 자재는 왼쪽화면에서처럼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구분된다. 3. 다른 자재를 더 추가하려면 다른 청구할 자재를 찾아서 수량을 입력한 후 다시 [저장] 버튼을 누르면 이미 생성된 청구번호에 추가할 수 있다. 4. Comments에는 본사에서 청구등록에 대한 출고확정시에 확인이 가능하므로, 필요한 사항을 입력한다. |
|
ㅁ 주의사항 | |
- 청구 일자를 다시 선택하면, 입고예정일 및 청구마감일을 다시 계산하여 뿌려주므로 화면이 바뀔때 까지 잠시 기다린다. - 본사에서 출고확정이 된 경우는 수정이 불가능하다.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1. 매장지역별 청구마감일 관리 2. 각 매장별로 청구마감일이 지났더라도 청구허가를 하면 청구가 가능하도록. |
ㅁ 사용방법 | |
- 매장지역별 청구마감일 관리 1. 매장 지역을 선택 2. 납기예정일 O일전 O 시 O 분까지 청구를 마감해야 함 - 매장별 청구허가 : 청구허가가 필요한 매장명 옆에 청구허가에 체크표시를 한 후 [저장] 한다. |
![]() |
[화면1] |
![]() |
ㅁ 기능 | |
매장에서 청구 등록한 전표에 대해서 본사(또는 물류)에서 주문출고를 확정. |
ㅁ 사용방법 | |
- 출고매장: 출고 매장(본사 또는 물류) - 입고매장: 청구한 매장(입고될 매장) - 상태 : 1) 미출고 : - 미발주 : 청구만 한 상태 - 발주완료 : 발주확정된 상태 - 부분출고 : 부분적으로 출고된 상태 * 선택한 출고일자 이하일자까지 미출고된 리스트가 나오게 됨 2) 출고완료 : 출고가 완료된 상태 |
ㅁ 버튼설명 | |
- [삭제] : 상태가 출고완료인 경우만 가능, 선택을 체크하고 삭제 버튼을 누르면 입고예정일의 청구번호가 출고된 데이터가 삭제되어, 출고되기 전 상태로 바뀜 - [강제완료] : 상태가 부분출고인 경우만 가능 , 선택을 체크하고 삭제 버튼을 누르면 입고예정일의 청구번호가 부분출고인 경우에 강제로 출고완료 상태로 변경됨 - 조회 화면에서 청구번호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청구에 대한 출고 확정이 가능 |
[화면2] |
![]() |
ㅁ 기능 | |
실제 출고 확정 |
|
ㅁ 사용방법 | |
- 앞화면에서 청구 번호 하나를 클릭하면 청구번호에 해당하는 자재목록이 나오는데, 기본적으로는 청구수량과 출고수량이 같게 보여지고 실제 출고수량이 다를 경우 새로 입력하여 저장한다. - 청구수량보다 실제 출고수량이 더 작은 경우, 저장하면 상태가 부분출고가 되고, 출고수량이 청구수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출고완료가 된다. - 출고수량이 0보다 크게 입력된 상태에서 [저장] 을 누르면 출고확정이 되면서 출고수량이 기 출고수량으로 넘어가게 된다. - 청구 수량과 기출고 수량이 같으면 출고확정이 완료된 것이다. |
[화면3] |
![]() |
ㅁ 기능 | |
주문 출고 확정 된 후 수량을 수정하거나 삭제. |
|
ㅁ 사용방법 | |
앞의 주문출고확정 화면에서 자재명을 클릭하면 왼쪽 화면처럼 출고번호 및 순번이 표시되고 수량을 수정하거나 삭제(‘0’을 입력) 하여 [저장] 할 수 있다. |
![]() |
[화면1] |
![]() |
ㅁ 기능 | |
청구등록 없이, 본사에서 출고를 바로 등록. |
ㅁ 사용방법 | |
- 출고기간 설정 - 출고매장: 출고 매장(본사 또는 물류) - 입고매장: 청구한 매장(입고될 매장) |
ㅁ 버튼설명 | |
- [삭제] : 상태가 출고완료인 경우만 가능, 선택을 체크하고 삭제 버튼을 누르면 입고예정일의 청구번호가 출고된 데이터가 삭제되어, 출고되기 전 상태로 바뀜 - 이미 등록된 자료가 있는 경우 [조회] 하여 나온 리스트에서 출고번호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출고에 대한 수정 및 삭제가 가능 - 신규로 주문 출고를 등록할 경우 [신규]버튼을 클릭 |
[화면2] |
![]() |
ㅁ 기능 | |
출고 신규 등록, 기존에 저장된 출고를 수정, 삭제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신규 등록 출고일자, 출고매장, 입고매장을 선택하고 [찾기]버튼을 눌러서 자재 추가 후 [저장] 하면 출고번호가 생성됨. 2. 기존 등록 출고 수정 및 삭제 앞화면에서 출고번호 하나를 선택하면, 출고번호에 해당하는 자재 리스트가 보여지고 주문수량 부분을 수정하거나 수량을 ‘0’으로 입력하면 삭제됨. |
|
ㅁ 기타 | |
Comments에는 주문출고시 남긴말이 표시된다. 수정하고 싶으면 수정하여 저장하는데 주문출고 전표에 포함되어, 주문입고시 확인가능하다. |
[화면3] |
![]() |
ㅁ 기능 | |
출고 신규 등록시 [찾기] 버튼 클릭 |
|
ㅁ 사용방법 | |
앞화면에서 [찾기]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화면처럼 자재가 리스트로 보여지고, 주문출고등록을 할 자재를 찾아서 수량을 입력한 후 [확인] 버튼을 누르면 앞화면에 수량이 입력된 자재가 추가가 된다. * 뒤에 다른 입력 프로그램에서도 [찾기] 버튼을 클릭하여 신규 입력할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하면 된다. |
![]() |
[화면1] |
![]() |
ㅁ 기능 | |
본사에서 주문 출고 등록한 전표에 대해서 매장에서 입고를 확정. |
|
ㅁ 사용방법 | |
입고일자, 입고매장, 출고매장, 상태를 선택하고 조회를 누르면, * 상태 미입고 : 출고 후 입고확정이 안된 상태 입고완료 : 출고 후 입고확정이 된 상태 - 상태를 미입고로 선택한 경우는 선택한 입고일자 까지 미입고된 출고전표가 모두 조회됨. - 출고번호를 입고확정하기 위해서 출고번호를 클릭 |
|
ㅁ 버튼설명 | |
[삭제]: 상태가 입고완료인 경우는 삭제가능 선택에 체크 한 후 [삭제] 버튼 누르면 입고완료 상태에서 원래의 미입고상태로 변경됨 |
[화면2] |
![]() |
ㅁ 기능 | |
실제 입고 확정 |
ㅁ 사용방법 | |
- 앞화면에서 출고 번호 하나를 클릭하면 출고번호에 해당하는 자재목록이 나오는데, 기본적으로는 출고수량과 입고수량이 같게 보여지고 실제 입고수량이 다를 경우 새로 입력하여 저장한다. - 출고수량보다 실제 입고수량이 더 작은 경우 저장 후 상태가 부분입고가 되고, 입고수량이 출고수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입고완료가 된다. - 입고수량이 0보다 크게 입력된 상태에서 [저장] 을 누르면 입고확정이 되면서 입고수량이 기입고수량으로 넘어가게 된다. - 출고수량과 기입고 수량이 같으면 입고확정이 완료된 것이다. |
![]() |
[화면1] |
![]() |
ㅁ 기능 | |
주문출고등록 없이, 매장에서 바로 입고 등록. |
|
ㅁ 사용방법 | |
- 입고기간 설정 - 입고매장: 입고될 매장 - 출고매장: 출고 매장(본사 또는 물류) |
|
ㅁ 버튼설명 | |
[삭제] : 삭제할 항목 체크하고 삭제 버튼을 누르면 입고번호의 자료가 삭제됨. [조회] : 조회해서 나온 리스트에서 입고번호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입고에 대한 수정 및 삭제가 가능 |
[화면2] |
![]() |
ㅁ 기능 | |
입고 신규 등록, 기존에 저장된 입고를 수정, 삭제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신규 등록 입고일자, 입고매장, 출고매장을 선택하고 [찾기] 버튼을 눌러서 자재 추가 후 [저장] 하면 입고번호가 생성됨. 2. 기존 등록 입고 수정 및 삭제 앞화면에서 입고번호 하나를 선택하면, 입고번호에 해당하는 자재 리스트가 보여지고 입고수량 부분을 수정하거나, 수량을 ‘0’으로 입력하면 삭제됨.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자재별로 주문현황을 조회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선택기간 :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 2. 이동매장 : 출고 : 앞매장 -> 뒷매장 입고 : 앞매장 <- 뒷매장 3. 자재분류 : 자재그룹, 자재분류, 자재특성별로 선택하여 조회 4. 자재명 : 조회하고자 하는 자재명을 입력 5. 이동구분 : 전체(출/입고), 출고, 입고 6. 단위: 발주/매입단위, 반품/주문단위, 사용/손실단위, 실사/보고단위 7. 단가: ▶ 본사 – 기본단가, 판매단가 (기본단가는 마감 전에는 판매단가와 같다가 마감 후에 평균단가로 변경됨) ▶ 매장 - 판매단가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일자별 자재별로 주문현황을 조회(선택기간내 일자별 소계)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선택기간 :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 2. 이동매장 : 출고 : 앞매장 -> 뒷매장 입고 : 앞매장 <- 뒷매장 3. 자재분류 : 자재그룹, 자재분류, 자재특성별로 선택하여 조회 4. 자재명 : 조회하고자 하는 자재명을 입력 5. 이동구분 : 전체(출/입고), 출고, 입고 6. 단위: 발주/매입단위, 반품/주문단위, 사용/손실단위, 실사/보고단위 7. 단가: ▶ 본사 – 기본단가, 판매단가 (기본단가는 마감 전에는 판매단가와 같다가 마감 후에 평균단가로 변경됨) ▶ 매장 - 판매단가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매장별 자재별로 주문현황을 조회(선택기간내 매장별 소계)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선택기간 :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 2. 이동매장 : 출고 : 앞매장 -> 뒷매장 입고 : 앞매장 <- 뒷매장 3. 자재분류 : 자재그룹, 자재분류, 자재특성별로 선택하여 조회 4. 자재명 : 조회하고자 하는 자재명을 입력 5. 이동구분 : 전체(출/입고), 출고, 입고 6. 단위: 발주/매입단위, 반품/주문단위, 사용/손실단위, 실사/보고단위 7. 단가: ▶ 본사 – 기본단가, 판매단가 (기본단가는 마감 전에는 판매단가와 같다가 마감 후에 평균단가로 변경됨) ▶ 매장 - 판매단가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일자별 매장별로 주문현황을 조회(일자별 매장별 소계)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선택기간 :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 2. 이동매장 : 출고 : 앞매장 -> 뒷매장 입고 : 앞매장 <- 뒷매장 3. 자재분류 : 자재그룹, 자재분류, 자재특성별로 선택하여 조회 4. 자재명 : 조회하고자 하는 자재명을 입력 5. 이동구분 : 전체(출/입고), 출고, 입고 6. 단위: 발주/매입단위, 반품/주문단위, 사용/손실단위, 실사/보고단위 7. 단가: ▶ 본사 – 기본단가, 판매단가 (기본단가는 마감 전에는 판매단가와 같다가 마감 후에 평균단가로 변경됨) ▶ 매장 - 판매단가 |
![]() |
ㅁ 버튼설명 | |
[인쇄]버튼 클릭하면 주문출고 거래명세서 인쇄 : 공급자는 본사 , 공급받는자는 매장으로 해서 출고일자별로 인쇄됨.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자재별 일자별로 주문현황을 조회(자재별 일자별 소계)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선택기간 :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 2. 이동매장 : 출고 : 앞매장 -> 뒷매장 입고 : 앞매장 <- 뒷매장 3. 자재분류 : 자재그룹, 자재분류, 자재특성별로 선택하여 조회 4. 자재명 : 조회하고자 하는 자재명을 입력 5. 이동구분 : 전체(출/입고), 출고, 입고 6. 단위: 발주/매입단위, 반품/주문단위, 사용/손실단위, 실사/보고단위 7. 단가: ▶ 본사 – 기본단가, 판매단가 (기본단가는 마감 전에는 판매단가와 같다가 마감 후에 평균단가로 변경됨) ▶ 매장 - 판매단가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자재별 매장별로 주문현황을 조회(자재별 매장별 소계)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선택기간 :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 2. 이동매장 : 출고 : 앞매장 -> 뒷매장 입고 : 앞매장 <- 뒷매장 3. 자재분류 : 자재그룹, 자재분류, 자재특성별로 선택하여 조회 4. 자재명 : 조회하고자 하는 자재명을 입력 5. 이동구분 : 전체(출/입고), 출고, 입고 6. 단위: 발주/매입단위, 반품/주문단위, 사용/손실단위, 실사/보고단위 7. 단가: ▶ 본사 – 기본단가, 판매단가 (기본단가는 마감 전에는 판매단가와 같다가 마감 후에 평균단가로 변경됨) ▶ 매장 - 판매단가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매장에서 청구한 내역이 주문 출고 미확정/확정된 현황을 매장별 청구 전표번호별로 조회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선택기간 : 특정 기간내에 주문 출고 미확정 현황을 조회하기 위해 기간 선택 2. 이동매장 : 앞매장 : 출고매장, 뒷매장 : 입고매장 3. 단위: 발주/매입단위, 반품/주문단위, 사용/손실단위, 실사/보고단위 4. 확정구분 : - 미확정 : 주문 출고가 미확정된 내역 - 확 정 : 주문 출고 확정된 내역 |
![]() |
![]() |
ㅁ 기능 | |
본사에서 출고한 내역이 매장에서 입고 미확정/확정되었는지 현황을 매장별 출고 전표번호별로 조회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선택기간 : 특정 기간내에 미확정 현황을 조회하기 위해 기간 선택 2. 이동매장 : 앞매장 : 입고매장, 뒷매장 : 출고매장 3. 단위: 발주/매입단위, 반품/주문단위, 사용/손실단위, 실사/보고단위 4. 확정구분 : - 미확정 : 주문 입고가 미확정된 내역 - 확 정 : 주문 입고 확정된 내역 |
![]() |
[화면1] |
![]() |
ㅁ 기능 | |
매장에서 본사로 반품 출고를 등록. |
|
ㅁ 사용방법 | |
- 출고기간 설정 - 출고매장: 매장 - 입고매장: 본사 (또는 물류) |
|
ㅁ 버튼설명 | |
[삭제]: 삭제할 항목 체크하고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해당 출고 번호의 데이터가 삭제됨 [조회]: 조회된 리스트에서 출고번호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출고에 대한 수정 및 삭제가 가능 |
[화면2] |
![]() |
ㅁ 기능 | |
반품 출고 등록 신규로 등록 또는 주문 입고된 것 중 찾아서 등록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신규 반품이나 주문 반품 선택 출고일자, 출고매장, 입고매장을 선택하고 [찾기] 버튼을 눌러서 자재 추가 후 저장하면 출고번호가 생성됨. 2. 기존 등록 출고 수정 및 삭제 앞화면에서 출고번호 하나를 선택하면, 출고번호에 해당하는 자재 리스트가 보여지고 출고수량 부분을 수정하거나 수량을 ‘0’으로 입력하면 삭제됨. |
[화면3] |
![]() |
ㅁ 기능 | |
반품출고 등록에서 라디오버튼 [주문반품] 선택하고 [찾기] 버튼을 눌렀을때 주문입고를 검색하여 출고 등록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출고일자 : 특정 기간내에 주문입고 현황을 조회하기 위해 선택 2. 출고매장 : 반품출고할 매장 3. 자재코드/명 : 반품출고할 자재명을 입력 - [조회] 하면 해당 기간내에 출고매장에 입고된 자재라 주문입고번호별로 표시되는 데 그 중에 반품출고등록할 자재에 출고수량을 입력한 후 [확인] 버튼을 누른다. |
![]() |
[화면1] |
![]() |
ㅁ 기능 | |
매장에서 반품 출고 등록된 자재에 대해 본사에서 반품 입고 확정.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입고일자 : 입고일 선택 2. 입고매장 : 반품 입고될 매장 3. 출고매장 : 반품 출고한 매장 4. 상 태 : - 미입고 : 반품 출고가 미입고된 내역 - 입고완료 : 반품 출고가 입고완료된 내역 |
[화면2] |
![]() |
ㅁ 기능 | |
실제 반품 입고 확정 |
|
ㅁ 사용방법 | |
앞화면에서 출고번호를 하나 선택하면 출고번호에 해당하는 내용이 조회되고 출고수량과 입고수량을 확인하여 [저장]하면 확정이 완료된다. 1. 처음에 출고수량과 입고수량은 같게 표시되는데 입고수량이 더 적거나 많은 경우 수량을 수정하면 된다. 2. [저장] 이 완료되면 입고된 수량은 기입고수량으로 표시된다. 3. 이미 입고된 수량을 수정이나 삭제하고자 하면 왼쪽 화면 상태에서 자재명을 선택하면 된다. |
[화면3] |
![]() |
ㅁ 기능 | |
반품 입고 확정 된 후 수량을 수정하거나 삭제. |
|
ㅁ 사용방법 | |
앞의 반품입고확정 화면에서 자재명을 클릭하면 왼쪽 화면처럼 입고번호 및 순번이 표시되고 수량을 수정하거나 삭제(‘0’을 입력) 하여 [저장] 할 수 있다. |
![]() |
[화면1] |
![]() |
ㅁ 기능 | |
매장에서 반품입고를 개별적으로 등록할때 사용. |
|
ㅁ 사용방법 | |
1. 입고기간 : 입고등록된 현황을 조회하기 위한 기간 선택 2. 입고매장 : 반품이 입고될 매장 3. 출고매장 : 반품이 출고될 매장 |
|
ㅁ 버튼설명 | |
1. 삭제 : 선택을 체크 한 후 [삭제]를 누르면 반품입고된 번호가 삭제됨. 2. 신규 : 신규로 반품입고를 등록하려고 할때 클릭 |
[화면2] |
![]() |
ㅁ 기능 | |
기존에 등록된 반품입고를 수정 또는 삭제 신규로 반품입고 등록시 |
|
ㅁ 사용방법 | |
- 기존에 등록된 반품입고를 수정 또는 삭제 : 앞 화면에서 등록된 입고번호를 클릭하면 해당번호의 입고일자, 입고매장, 출고매장, 입고번호 및 입고된 자재리스트가 표시된다. 입고수량을 수정하거나 삭제(수량으로 ‘0’으로 입력) 할 수 있다. - 신규로 반품 입고 등록 : [찾기] 버튼을 눌러 자재가 리스트되면 입고등록할 자재를 찾아 수량을 입력한 후 [확인] 을 누르면 해당 자재리스트가 포함되고 [저장] 하면 새롭게 입고번호가 생성된다. |
![]() |
![]() |